커피찌꺼기, 이제는 폐기물이 아닌 자원이다.
한 잔의 커피를 내릴 때 사용되는 원두는 약 15g.
하지만 우리가 실제로 마시는 건 그중 0.2%에 불과하다.
나머지 99.8%는 커피찌꺼기로 남는다.
국내에서만 해마다 15만 톤 이상의 커피찌꺼기가 발생하며,
대부분이 버려지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부터는 커피찌꺼기를 그냥 버릴 필요가 없다.
2022년 3월 15일부터 커피찌꺼기는 법적으로 폐기물이 아닌
‘순환자원’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한 법 개정이 아니라 커피찌꺼기를 자원으로 활용하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다는 뜻이다.
커피찌꺼기의 놀라운 활용법
커피찌꺼기는 단순한 부산물이 아니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가치 있는 자원이다.
✅ 천연 탈취제
커피찌꺼기는 로스팅 과정에서 다공성 구조를 형성해
냄새를 흡착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잘 말린 커피찌꺼기를 신발장, 냉장고, 옷장 등에 두면
불쾌한 냄새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 습기 제거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실내 습기 조절에도 유용하다.
종이컵에 담아 창가나 옷장에 놓으면 간단한 제습제가 된다.
✅ 천연 세정제
기름때 제거에 효과적이다.
설거지할 때 커피찌꺼기를 사용하면 유분을 쉽게 닦아낼 수 있다.
또한, 금속 표면에 문지르면 녹 방지에도 도움을 준다.
✅ 자원순환과 친환경 제품
최근에는 커피찌꺼기를 활용한 연필, 벽돌, 화장품, 바이오 연료 등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버려지던 자원이 새로운 제품으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텃밭에서 커피찌꺼기 활용하기
커피찌꺼기는 텃밭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질소 함량이 약 2%이고, 탄질률(C/N 비율)이 20:1 수준으로
퇴비화 조건을 잘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의할 점도 있다.
⚠ 생 커피찌꺼기를 과다 사용하면 안 된다.
아직 분해되지 않은 카페인이 흙에 쌓이면 염류집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퇴비화 과정을 거치거나, 직접 밭에 뿌릴 때는 얇게 흩뿌려야 한다.
⚠ 커피찌꺼기는 벌레 퇴치에도 도움을 준다.
흙 표면에 살짝 덮어주면 유기물 공급과 함께 일부 해충을 막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탄소중립과 지속가능한 농사
커피찌꺼기를 재활용하면 연간 약 5만 톤의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만약 이대로 소각된다면 1톤당 338kg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단순히 폐기물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환경 보호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텃밭에서 수확량이 조금 줄어들 수는 있지만,
커피찌꺼기를 활용한 농사는 탄소중립과 자원 순환이라는 측면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자연을 생각하는 농부라면, 오늘부터 커피찌꺼기를 버리지 말고
흙과 함께 순환시켜보는 것은 어떨까?
'자원순환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생 커피찌꺼기 vs. 발효 커피퇴비 비교 (0) | 2025.03.01 |
---|---|
🌱 커피찌꺼기가 퇴비화에 적합한 이유 (0) | 2025.03.01 |
☕ 커피찌꺼기 텃밭 활용법 (0) | 2025.03.01 |
☕ 커피찌꺼기의 주요 성분과 효과 (0) | 2025.03.01 |
커피찌꺼기가 토양에 미치는 영향, 제대로 알아보기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