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효소멸기 찌꺼기로 만드는 자연순환 퇴비

발효소멸기 찌꺼기로 만드는 자연순환 퇴비

자연을 살리는 작은 순환


음식물 발효소멸기 찌꺼기, 버리기 아깝지 않은가

가정이나 기관에서 사용하는 음식물 발효소멸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건조·소멸시켜 남은 찌꺼기를 배출한다.

이 찌꺼기는 이미 1차 발효가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대로 버리기에는 너무 아깝다.
오히려 약간의 준비만 더하면
빠르게 완성되는 자연순환 퇴비로 재탄생할 수 있다.

오늘은 발효소멸기 찌꺼기를 활용해
간단하고 빠르게 퇴비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한다.


발효소멸기 찌꺼기의 특징

  • 발효가 이미 진행되어 있다.
  • 수분 함량이 낮다.
  • 영양소가 농축되어 있다.

요약하면,
"준비된 고급 유기물"이라고 볼 수 있다.


퇴비 만들기 준비물

  • 건조 커피찌꺼기
  • 발효소멸기 찌꺼기
  • 물(수분 조절용)
  • 스티로폼 박스(또는 통풍 좋은 용기)
  • 장갑

※ 특별한 발효촉진제나 보조재는 필요 없다.


혼합비율 추천 (커피 7 : 발효소멸기 찌꺼기 3)

발효소멸기 찌꺼기를 활용한 퇴비 만들기에서는
커피찌꺼기 7 : 발효소멸기 찌꺼기 3 비율로 섞는 것을 추천한다.

  • 커피찌꺼기가 많으면 전체 혼합물의 통기성이 좋아지고
  • 발효 과정이 고르게 진행되며,
  • 수분 조절이 쉬워 부패 위험이 낮아진다.

 커피찌꺼기 7컵 + 발효소멸기 찌꺼기 3컵 비율로 준비하여
 손으로 쥐었을 때 가볍게 뭉쳐지는 정도로 수분을 조절하는 것이 포인트다.


스티로폼 박스를 발효용기로 추천하는 이유

퇴비를 발효시키기 위한 용기로는
스티로폼 박스를 적극 추천한다.

  • 스티로폼은 단열성이 뛰어나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잘 보존해준다.
  • 통풍을 조절하기 쉬워
    발효가 고르게 진행된다.
  • 버려지는 스티로폼 박스를 재활용함으로써
    추가 비용 없이 업사이클링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바닥에 작은 구멍을 몇 개 뚫어주면
물빠짐도 잘 되고 과습을 방지할 수 있다.


퇴비화 과정

1. 찌꺼기 상태 점검

  • 손으로 눌렀을 때 부드럽게 뭉쳐지되
    물기가 손에 묻어나지 않아야 한다.
  • 건조가 지나치면 물을 분무기로 살짝 뿌려준다.

2. 혼합

  • 준비한 커피찌꺼기 7컵과 발효소멸기 찌꺼기 3컵을 큰 볼에 넣고 골고루 섞는다.
  • 수분 상태를 손으로 직접 확인하며 조정한다.

3. 발효 시작

  • 준비한 스티로폼 박스에 혼합물을 담는다.
  • 뚜껑을 덮되 완전히 밀폐하지 않고,
    공기가 살짝 통할 수 있도록 조정한다.
  •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 두고 자연 발효를 진행한다.
  • 주 1회 정도 가볍게 섞어준다.

발효 체크 포인트

체크 항목정상 상태
냄새 발효초기 약간의 냄새 → 점점 흙냄새로 변화
온도 손으로 만졌을 때 미지근하거나 따뜻함
색 변화 점점 짙은 갈색 또는 흙색으로 변화
수분 상태 촉촉하지만 물방울이 맺히지 않음

완성 퇴비 활용법

  • 화분용 토양에 1:3 비율로 섞어 사용한다.
  • 텃밭에는 뿌리기 전 흙과 함께 가볍게 섞는다.
  • 밭에서는 씨앗 심기 2주 전에 뿌려 준비한다.

 빠른 흡수와 뿌리 발달을 기대할 수 있다.


기대효과


1. 빠른 자연순환 실현

발효소멸기 찌꺼기를 활용하면
일반 음식물 쓰레기보다 훨씬 빠르게
토양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2. 친환경 업사이클링 실천

쓰레기 처리를 넘어
자원순환형 농업을 직접 실천할 수 있다.


3. 비용 절감과 토양 건강 개선

비료를 따로 구입할 필요 없이
내 손으로 만든 천연 퇴비를 사용할 수 있다.
땅의 건강도, 지갑의 건강도 함께 챙길 수 있다.


자연을 살리는 작은 시작

버려질 뻔한 음식물 발효소멸기 찌꺼기와 버려지는 스티로폼 박스.
그 안에는 여전히 많은 생명의 힘이 담겨 있다.

오늘, 찌꺼기의 가치를 다시 바라보고
땅을 살리는 작은 순환을 시작해보는 것은 어떨까.

우리의 작은 손길이
흙과 생명을 다시 일으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