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 진단하는 법 – 비옥도, 배수력, 보수력까지 읽어내는 7가지 방법

토양 진단하는 법 – 비옥도, 배수력, 보수력까지 읽어내는 7가지 방법


1. 자생 식물을 관찰한다

어떤 식물이 자라는지 살펴보자.

  • 습한 땅: 삘기, 갈대, 뱀밥 등이 자란다. → 배수가 원활하지 않다.
  • 균형 무너진 습지: 쇠뜨기가 군락을 이룬다.
  • 건조한 땅: 망초, 바랭이가 흔히 나타난다.

자생 식물은 토양의 수분 상태와 건강을 알려주는 신호다.


2. 흙을 파서 색깔을 본다

토양을 한 뼘쯤 파서 색을 살핀다.

  • 습한 토양: 진흙 함량이 높아 논흙처럼 뭉친다.
  • 황토색이어도 통기성이 부족하면 습할 수 있다.
  • 흰색 토양: 잔돌이 많고 건조하다. 모래 비율이 높아 보수력이 떨어진다.

작물 선택 시 이 조건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3. 토양의 기울기를 본다

땅의 기울기에 따라 수분과 영양 상태가 달라진다.

  • 높은 쪽: 수분이 부족하기 쉽다. → 가뭄에 강한 작물 재배.
  • 낮은 쪽: 수분이 과다하거나 영양분이 몰린다. → 민감한 작물 재배.

두둑은 빗물이 잘 빠지도록 가로 방향으로 만든다.
이렇게 하면 흙 쓸림도 막을 수 있다.


4. 모래 함량을 따져본다

좋은 흙은 점토, 미사, 모래가 균형 있게 섞여 있는 양토다.

  • 손으로 흙을 비벼본다.
  • 꺼칠한 느낌이 강하면 사질토(모래 많은 흙)다.
  • 부드럽게 뭉쳐지면 양토에 가깝다.

5. 흙 냄새를 맡아본다

흙 냄새는 건강 상태를 그대로 보여준다.

  • 풋풋한 냄새: 방선균이 우점하는 건강한 토양.
  • 퀴퀴한 냄새: 배수가 불량해 유기물이 부패한 토양.

코끝으로도 흙의 생명력을 읽을 수 있다.


6. 손으로 뭉쳐본다

흙을 손에 쥐고 뭉쳐본다.

  • 잘 뭉쳐지면 진흙 함량이 높다.
  • 잘 안 뭉쳐지면 모래가 많은 흙이다.
  • 뭉칠 듯 말 듯한 상태가 가장 좋은 토양이다.

7. 흙을 직접 파본다

삽이나 손으로 흙을 파보자.

  • 힘이 많이 들면 통기성이 부족한 흙이다.
  • 이런 땅은 작물 뿌리 성장을 방해한다.

특히 감자, 무, 고구마 같은 뿌리작물은
성장 후반부까지 흙이 부드러워야 수확량이 좋다.

딱딱한 흙을 만나면
무는 비뚤어지고, 감자는 잘고, 고구마는 활착에 실패할 수 있다.


결론

토양을 진단하는 것은 농사의 절반이다.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고, 코로 냄새 맡으며
흙의 상태를 읽어내는 감각을 키워보자.

좋은 흙은 결국
자연을 읽고, 흙을 이해하는 데서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