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은 어째서 살아 있다고 하는 걸까?
– 미생물이 들끓는 생명의 덩어리
흙은 죽은 게 아니다.
겉보기엔 그저 흙덩어리지만,
그 안엔 수많은 생명체가 꿈틀댄다.
세균, 곰팡이, 선충, 원생생물, 지렁이까지.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들이 흙을 살아 있게 만든다.
이들은 유기물을 분해하고,
식물이 먹을 수 있는 양분으로 바꿔준다.
어떤 미생물은 뿌리와 손을 잡고,
어떤 미생물은 병균을 막는다.
질소를 고정해 뿌리 밑에 선물처럼 남겨두기도 한다.
흙 속에선 전쟁과 협력,
삶과 죽음이 매 순간 이어진다.
흙은 그 자체로 거대한 생태계다.
따라서 좋은 흙이란
검고 부드러우면서 꿈틀거리는 흙이다.
농사는 흙을 만지는 일이지만,
본질은 흙 안의 생명을 돌보는 일이라고 해야 옳다.
지식 창고
흙 1g 안에는 최대 10억 마리 이상의 미생물이 산다.
박테리아, 방선균, 곰팡이, 선충, 원생생물 등이다.
이들은 유기물을 분해하고, 뿌리와 공생하며,
질소를 고정하고, 병원균을 억제하는 등 토
양 생태계의 핵심 역할을 한다.
흙이 살아 있으려면, 그 안에 다양한 생물이 끊임없이 움직여야 한다.
'흙왈농사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은 어째서 색깔이 다른 걸까? (0) | 2025.06.28 |
---|---|
흙은 왜 냄새가 날까? (1) | 2025.06.27 |
묵정밭 개량, 살아있는 흙의 감촉으로 가는 길 (0) | 2025.05.21 |
땅심의 근원, 유기물 (0) | 2025.05.20 |
꿈틀꿈틀, 살아있는 흙의 감촉을 느끼고 싶다면 (0)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