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 꿈틀거려야 할 의무가 있다
흙은 살아 있어야 한다.
뭇 생명이 태동하는 삶터이기에 그렇다.
꿈틀거리는 흙만이 생명을 품는다.
그렇다면, 이런 흙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답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덮으면 된다.
단, 흙으로 돌아가는 유기물이어야 한다.
자연의 숲이 그 답을 가르쳐 준다.
숲이 보여주는 흙살림의 비결
숲은 언제나 속살을 보이지 않는다.
풀을 키우고, 낙엽을 덮는다.
그도 안 되면 들꽃이라도 피워 땅을 덮는다.
이렇게 덮인 흙은
- 검고,
- 촉촉하며,
- 따뜻하다.
한겨울에도 꽁꽁 얼지 않는다.
굳이 초대하지 않아도 생명들이 몰려든다.
먹고 먹히며, 생성하고 소멸하는 생태계의 약속이 시작된다.
텃밭에서도 꿈틀대는 흙 만들기
텃밭에서도 숲을 흉내 낼 수 있다.
방법은 간단하다.
1. 농사 부산물을 땅에 돌려주자
- 토마토처럼 생을 마친 작물의 줄기·이파리를 잘게 잘라 그 자리에 덮는다.
- 가능하면 전지 가위를 이용해 잘게 자른다.
- 넓게 그리고 고르게 덮자.
2.주변의 풀도 아낌없이 베어 보충
- 덮는 두께는 5cm 이상이어도 좋다.
3. 퇴비나 부엽토 뿌리기
- 유용 미생물이 증식하고, 땅심 돋우는 일꾼이 많아진다.
- 커피 찌꺼기를 추가해도 효과적이다.
Tip: 비 오기 전날 작업하면 물 주는 노력을 생략할 수 있다.
텃밭 농부는 흙을 만드는 사람이다
흙을 덮는 행위는 단순하지 않다.
생명 순환의 시작이다.
텃밭 농부는 흙을 만드는 사람이다.
스스로 자랑스러워해도 좋다.
'흙왈농사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심보다 더 좋은 농사기술은 없다 (0) | 2025.05.14 |
---|---|
유기물 멀칭, 전정가지도 쓸 수 있다 (0) | 2025.05.13 |
식물뿌리가 땅 속을 지배한다 (0) | 2025.05.11 |
모든 뿌리는 흙으로부터 시작된다 (0) | 2025.05.10 |
밭갈이(경운), 정말 필요한 걸까? (0) | 2025.05.09 |